다제내성 VRE는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가진 장구균으로 병원 내 감염의 큰 위협입니다. 전파 경로, 증상, 치료법, 예방법을 쉽게 정리했습니다.
목차
- 다제내성 VRE란 무엇인가?
- VRE 감염 증상
- 감염 경로 및 고위험군
- 치료 방법과 치료의 한계
- 다제내성 VRE 예방법
- 마무리

1. VRE란?
다제내성 VRE(Vancomycin-Resistant Enterococci)는 대표적인 장내 세균 중 하나인 엔테로코커스(Enterococcus)가 반코마이신 (Vancomycin)을 포함한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상태를 말합니다.
VRE는 병원 내 환자들에게 특히 위협적인 균으로, 일반적인 감염과 달리 치료가 어려워 패혈증, 요로감염, 복강염 등의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중증 질환자나 면역이 약한 환자에게 치명적입니다.
2. VRE 감염 증상
다제내성 VRE는 감염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.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 보균자로 존재할 수도 있어 전파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- 요로 감염: 잦은 배뇨, 배뇨 시 통증, 혈뇨
- 패혈증: 발열, 저혈압, 의식 혼미
- 복막염: 복통, 발열, 오한
- 심내막염: 심장 박동 이상, 피로감, 흉통
※ 무증상 상태에서 장내에서 머물다 면역이 약해질 때 감염으로 전환될 수 있어 정기적인 감시가 중요합니다.
3. 감염 경로 및 고위험군
VRE의 주요 전파 경로는 접촉감염입니다. 감염자 혹은 보균자와의 손 접촉, 오염된 기구 및 환경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.
감염 경로
- 감염자 배설물이나 체액과의 접촉
- 의료기기(도뇨관, 중심정맥관 등)를 통한 간접 전파
- 손위생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의료진의 접촉
고위험군
- 장기간 입원한 환자
- 장기 항생제 치료를 받은 환자
-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
- 중환자실(ICU) 환자
- 암환자 및 고령자
👉 고위험군은 감염 시 회복이 어려울 수 있어, 특히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.
4. 치료 방법과 치료의 한계
다제내성 VRE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치료의 어려움입니다. 바닐라마이신 내성 외에도 다른 항생제에도 저항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.
치료 방법
- 리네졸리드(Linezolid), 다플로프리스틴(Quinupristin/Dalfopristin) 등의 항생제 사용
- 감염 부위의 적극적 배농 또는 수술적 치료
- 감염병 전문의의 진단 및 관리 필수
※ 하지만 내성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, 조기 진단과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
5. 다제내성 VRE 예방법
병원 내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VRE 확산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.
예방수칙
- 손 씻기: 알코올 손 소독제 사용 포함
- 보호장구 착용: 감염자 간호 시 반드시 장갑, 가운, 마스크 착용
- 격리 조치: 감염자 또는 보균자는 독립 공간 사용
- 환경 소독: 의료기기 및 병실 주기적 소독
- 항생제 사용 최소화: 필요 시 감염내과 협의 후 결정
👉 특히 보호자와 방문객 또한 감염 예방 지침을 철저히 따라야 합니다.
6. 마무리
다제내성 VRE는 일상에서는 드물게 보이지만, 병원 환경에서는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존재입니다. 감염 시 회복이 어려울 수 있어 예방이 최고의 치료법입니다.
- 다제내성 VRE는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지닌 장내 세균으로 병원 감염의 주요 원인입니다.
- 감염 시 증상은 요로 감염부터 패혈증까지 다양하며, 무증상 보균자 상태도 많습니다.
- 손 위생, 보호장구 착용, 격리 등 철저한 감염 관리가 필요합니다.
- 치료는 제한적이며, 예방이 핵심입니다.